Setting

[ Setting React ] window에서 React 시작하기

Mungwang 2023. 9. 5. 11:38

💎 Node.js 설치하기

- LTS 버전 설치하기

💎 Windows PowerShell

- Window 검색창에 Windows PowerShell 검색후  실행

** 꼭!! 관리자 권환으로 실행해야함 **

- Windows PowerShell 실행후 node -v 로 Node.js 설치 및 버전 확인하기

- get-help Set-ExecutionPolicy 명령어 실행 후 Y 입력

- Set-ExecutionPolicy RemoteSigned 명령어 실행 후 Y 입력

💎Yarn 설치 및 React 앱 생성

- 드라이브에 기존에 쓰던 workspace에 리액트전용 폴더를 만들고 vscode로 해당 폴더 열기!

- vscode 실행후 ctrl + shift + ` 으로 터미널 실행하거나 혹은 상단메뉴 Terminal > new Terminal 실행

- npm install –-global yarn 으로 전역으로 yarn 설치 

- global --global ---global 뭐로 하던 정상적으로 install 되었고 처음인스톨할때는

added 1 package in 000ms가 나오고 install이 된후 다시 실행하면 changed 1 package in 000 ms라고 표시가된다

- yarn –version 으로 yarn 실행 가능한지 확인하기

- yarn global add creat-react-app 으로 전역에서 creat-react-app 을 사용하게끔 명령어 실행

  ◎ npm으로도 가능하나 성능과 전역 설치를 위하여 yarn 이용 권장

- npx create-react-app my-app 으로 my-app이라는 이름의 리액트 앱을 생성

 

🧨 note! 리액트 앱 생성 에러발생 시 npx clear-npx-cache 명령어로 캐시 클리어 후진행

- 리액트앱 생성 후 cd my-app 명렁어로 내 리액트 프로젝트 경로 이동

nap start or yarn start 명령어로 프로젝트 실행시키기  ↓  밑에 화면이나옴

http://localhost:3000/ 접속 ( 자동실행 된다 )

💡 가끔 명령어 실행이 안되는분들이있는데 그때는 vscode를 키지 않은 상태에서

    Windows PowerShell 명령어를 실행야하고 그렇게해도 되지않는다면 환경변수 설정을 확인해봐야한다

환경변수 설정:https://mungwang.tistory.com/entry/Setting-React-1